남아프리카 줄루 도자기

2024. 10. 15. 06:00카테고리 없음

 

남아프리카 줄루 도자기의 역사와 특징에 관한 연구

1. 서론

줄루 도자기는 남아프리카 줄루 민족의 전통 공예로,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줄루 도자기의 기원과 역사, 제작 과정과 특징, 주요 제작 지역, 현대적 발전 양상 및 사회문화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줄루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줄루 도자기의 역사는 기원전 1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이 지역의 도자기 전통이 기원전 1세기부터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1]. 줄루족의 조상인 응구니(Nguni) 계 민족들이 서기 200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도자기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

줄루 도자기 제작은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전문 영역이었다. 어머니에서 딸로 기술이 전수되는 방식으로 이어져 왔으며, 가정용 및 판매용 도자기를 제작해왔다[5].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3. 줄루 도자기의 특징과 제작 과정

3.1 형태와 용도

줄루 도자기의 대표적인 형태는 우캄바(ukhamba)라 불리는 맥주 양조 및 음용 용기이다. 우캄바는 구연부와 받침이 없는 구형의 용기로, 지름이 약 25-38cm 정도이다[5]. 이외에도 요리, 저장, 운반 등 다양한 용도의 도자기가 제작되었다[1].

3.2 제작 기법

줄루 도자기는 테라코타 점토를 사용해 제작된다. 점토 코일을 쌓아 올려 성형한 후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방식으로 제작된다[6]. 벽이 매우 얇게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3.3 장식 기법

줄루 도자기의 주요 장식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아마숨파(amasumpa): 표면에 돌기 무늬를 새기는 기법
2) 스그라피토(sgraffito): 기하학적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3) 채색: 밝은 색상의 에나멜 도료로 채색
4) 구슬 장식: 도자기 표면에 구슬을 부착[5]

3.4 소성 과정

줄루 도자기는 야외에서 두 번 소성한다. 1차 소성 후 뜨거운 상태에서 아카시아 콩깍지를 끓인 용액에 담그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도자기를 더욱 방수성 있게 만들고 어두운 갈색으로 변화시킨다[4]. 이러한 과정은 일본의 라쿠(raku) 기법과 유사하다.

4. 주요 제작 지역

줄루 도자기의 주요 제작 지역은 크와줄루-나탈(KwaZulu-Natal) 주이다. 특히 상부 및 하부 투켈라(Thukela) 강 유역이 중요한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8]. 음싱가(Msinga) 지역도 독특한 특징을 지닌 도자기 생산으로 유명하다[8].

5. 현대적 발전과 보존 노력

5.1 현대 도예가들의 활동

네스타 날라(Nesta Nala)와 같은 현대 줄루 도예가들은 전통 기법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작품을 선보이며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5]. 이들은 전통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장식 기법을 발전시켜 현대적 감각의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5.2 문화유산 보존 노력

남아프리카 정부와 문화 기관들은 줄루 도자기 전통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통 기술 전수 프로그램, 전시회 개최, 연구 지원 등을 통해 이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고자 한다.

6. 사회문화적 의미

줄루 도자기, 특히 맥주 용기인 우캄바는 줄루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단순한 용기 이상의 의미로, 공동체의 결속과 조상과의 소통 수단으로 기능한다[6].

우캄바를 통한 공동 음주는 줄루 사회의 연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우문투, 응우문투, 응아반투(Umuntu, ngumuntu, ngabantu)"라는 줄루 속담은 "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 때문에 사람이다"라는 뜻으로, 우캄바를 통한 공동체 의식을 잘 보여준다[5].

또한 줄루인들은 검은색 도자기가 조상들을 끌어들인다고 믿는다. 이에 따라 의례용 도자기는 주로 검은색으로 제작된다[6]. 이처럼 줄루 도자기는 종교적, 의례적 의미도 지니고 있다.

7. 결론

줄루 도자기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남아프리카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실용성과 예술성, 그리고 깊은 문화적 의미를 동시에 지닌 이 공예는 현대에도 계승되고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줄루 도자기 문화가 더욱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 Art Institute of Chicago. (n.d.). Vessel for Serving Beer (Ukhamba). https://www.artic.edu/artworks/185691/vessel-for-serving-beer-ukhamba

[2] Ball State University. (2023). Celebrating South African art: The Zulus and their vessels. https://blogs.bsu.edu/doma/2023/09/06/celebrating-south-african-art-the-zulus-and-their-vessels/

[3] African Home. (n.d.). Handicraft History. https://www.africanhome.co.za/history/

[4] YouTube. (n.d.). African Pottery Forming and Firing. https://www.youtube.com/watch?v=52HKSwkI1hs

[5] CFile. (n.d.). An Essential Introduction to the Culture & Craft of Zulu Pottery. https://cfileonline.org/zulu-pottery/

[6] Timothy S. Y. Lam Museum of Anthropology. (2023). Zulu Beer Pot. https://lammuseum.wfu.edu/2023/04/zulu-beer-pot/

[7] Maibelo, I. (n.d.). The Resplendent Artistry of the Zulu Nation: Unveiling the Cultural Treasures and Creative Expressions. Vocal Media. https://vocal.media/history/the-resplendent-artistry-of-the-zulu-nation-unveiling-the-cultural-treasures-and-creative-expressions

[8] Fowler, K. D. (n.d.). The Zulu Ceramic Tradition in Msinga, South Africa. Mdukatshani. http://www.mdukatshani.com/resources/Fowler_Msinga_SAHJ_2%20(2).pdf

[9] African Home. (n.d.). Zulu Pottery. https://www.africanhome.co.za/zulu-pottery/

Citations:
[1] https://www.artic.edu/artworks/185691/vessel-for-serving-beer-ukhamba
[2] https://blogs.bsu.edu/doma/2023/09/06/celebrating-south-african-art-the-zulus-and-their-vessels/
[3] https://www.africanhome.co.za/history/
[4] https://www.youtube.com/watch?v=52HKSwkI1hs
[5] https://cfileonline.org/zulu-pottery/
[6] https://lammuseum.wfu.edu/2023/04/zulu-beer-pot/
[7] https://vocal.media/history/the-resplendent-artistry-of-the-zulu-nation-unveiling-the-cultural-treasures-and-creative-expressions
[8] http://www.mdukatshani.com/resources/Fowler_Msinga_SAHJ_2%20(2).pdf
[9] https://www.africanhome.co.za/zulu-pottery/
[10] https://journals.co.za/doi/pdf/10.10520/EJC6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