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전통 도자기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2024. 10. 23. 07:08카테고리 없음

몽골 전통 도자기의 역사와 특징에 관한 연구

1. 서론

몽골은 유목 문화권에 속한 국가로,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몽골에도 고유한 도자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특히 몽골 제국 시기에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도자기 문화가 크게 발전했음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전통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특징, 주요 제작지역, 제작과정, 현대적 발전과 보존, 그리고 사회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2. 몽골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몽골의 도자기 역사는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5500년에서 3500년 사이에 몽골 지역에서 농경 문화가 발달하면서 도자기 제작이 시작되었다[3]. 그러나 이후 유목 문화로의 전환으로 인해 도자기 문화는 일시적으로 쇠퇴하였다.

몽골 도자기 문화의 본격적인 발전은 13세기 몽골 제국 시기에 이루어졌다. 칭기즈 칸이 1206년 몽골을 통일하고 제국을 건설하면서, 중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가 활발해졌다[2]. 이 과정에서 중국의 선진 도자기 기술이 몽골에 유입되었고, 이는 몽골 고유의 도자기 문화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3. 몽골 도자기의 특징

몽골 전통 도자기는 유목 생활에 적합한 실용성과 견고성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그릇과 용기들이 제작되었으며, 이동이 잦은 유목민의 생활 특성상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를 선호하였다[7].

몽골 도자기의 또 다른 특징은 장식의 단순함이다. 중국 도자기에 비해 장식이 적고 단순한 편인데, 이는 몽골의 미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몽골의 미의식은 "강함에 대한 숭상, 자연과의 어울림, 정직함과 성실함에 대한 존경, 관적인 사고와 말에 대한 숭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3]. 이러한 미의식은 도자기의 형태와 장식에도 반영되어, 단순하면서도 강인한 느낌을 주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4. 주요 제작지역

몽골 도자기의 주요 제작지역은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다. 초기에는 농경 문화가 발달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도자기가 제작되었으나, 몽골 제국 시기에는 수도였던 카라코룸을 중심으로 도자기 생산이 이루어졌다.

원 제국 시기에는 중국의 도자기 제작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중국의 주요 도자기 생산지인 징더전(景德鎮)에서도 몽골 스타일의 도자기가 제작되었다[8]. 이 시기에 제작된 도자기들은 중국과 몽골의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5. 제작과정

몽골 전통 도자기의 제작과정은 기본적으로 다른 지역의 도자기 제작과정과 유사하다. 점토를 성형하고 건조한 후 높은 온도에서 구워내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몽골의 독특한 환경과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원료 선택에 있어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주로 사용했다. 둘째, 성형 과정에서는 유목 생활에 적합한 형태를 선호했다. 셋째, 장식 과정에서는 단순하면서도 상징적인 문양을 주로 사용했다[3].

특히 원 제국 시기에는 중국의 청화백자 제작 기술이 도입되어, 코발트 안료를 사용한 청화백자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는 몽골 도자기 기술의 큰 진보를 의미한다[8].

 

6. 현대적 발전과 보존

20세기 이후 몽골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전통 도자기 문화는 쇠퇴의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몽골 전통 도자기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몽골 국립박물관에서는 '유목민의 잔'이라는 특별전을 통해 몽골의 전통 도자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 전시에서는 초기 청동기 시대의 돌그릇부터 몽골 제국 시기의 도자기, 그리고 17~20세기 몽골 공예가들의 작품까지 다양한 시대의 도자기를 전시하고 있다[5].

또한 몽골 정부와 UNESCO 등 국제기구들은 몽골의 전통 공예 기술을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유목민의 전통 주거인 게르와 관련된 공예 기술이 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몽골의 전통 문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7].

 

7. 사회적 의미

몽골 전통 도자기는 단순한 생활용품을 넘어 몽골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도자기를 통해 몽골의 유목 문화와 미의식, 그리고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 역사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원 제국 시기의 도자기는 몽골과 중국 문화의 융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 시기에 제작된 청화백자는 몽골의 취향과 중국의 기술이 결합된 결과물로, 문화 교류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8].

현대 몽골 사회에서 전통 도자기는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통 도자기의 보존과 계승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몽골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8. 결론

몽골 전통 도자기는 유목 문화와 정주 문화의 교류, 그리고 주변 국가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왔다. 초기의 단순한 형태에서 시작하여 몽골 제국 시기에 크게 발전하였고, 현대에 이르러 새로운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몽골 전통 도자기 연구는 몽골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앞으로 더 많은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를 통해 몽골 도자기의 역사와 특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나무위키. (2024). 도자기.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

[2] 위키백과. (2024). 몽골의 역사. https://ko.wikipedia.org/wiki/%EB%AA%BD%EA%B3%A8%EC%9D%98_%EC%97%AD%EC%82%AC

[3] S-Space. (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75701/1/000000166039.pdf

[4] 나무위키. (2024). 도자기.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rev=466

[5] 하이몽골리아뉴스. (n.d.). 몽골국립박물관 특별전 '유목민의 잔'. https://himongolianews.net/%EB%AA%BD%EA%B3%A8%EA%B5%AD%EB%A6%BD%EB%B0%95%EB%AC%BC%EA%B4%80-%ED%8A%B9%EB%B3%84%EC%A0%84-%EC%9C%A0%EB%AA%A9%EB%AF%BC%EC%9D%98-%EC%9E%94/

[7] 유네스코와 유산. (n.d.). 몽골 게르의 전통 제작법과 관련 풍습. https://heritage.unesco.or.kr/%EB%AA%BD%EA%B3%A8-%EA%B2%8C%EB%A5%B4%EC%9D%98-%EC%A0%84%ED%86%B5-%EC%A0%9C%EC%9E%91%EB%B2%95%EA%B3%BC-%EA%B4%80%EB%A0%A8-%ED%92%8D%EC%8A%B5/

[8] DBpia. (n.d.). 원대의 도자기 유통 - 도자사에서 몽골의 영향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6901

Citations:
[1]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rev=466
[2] https://ko.wikipedia.org/wiki/%EB%AA%BD%EA%B3%A8%EC%9D%98_%EC%97%AD%EC%82%AC
[3]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75701/1/000000166039.pdf
[4]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
[5] https://himongolianews.net/%EB%AA%BD%EA%B3%A8%EA%B5%AD%EB%A6%BD%EB%B0%95%EB%AC%BC%EA%B4%80-%ED%8A%B9%EB%B3%84%EC%A0%84-%EC%9C%A0%EB%AA%A9%EB%AF%BC%EC%9D%98-%EC%9E%94/
[6] https://www.kidshankook.kr/news/articleView.html?idxno=7239
[7] https://heritage.unesco.or.kr/%EB%AA%BD%EA%B3%A8-%EA%B2%8C%EB%A5%B4%EC%9D%98-%EC%A0%84%ED%86%B5-%EC%A0%9C%EC%9E%91%EB%B2%95%EA%B3%BC-%EA%B4%80%EB%A0%A8-%ED%92%8D%EC%8A%B5/
[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6901
[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8977

 

도자기

이천 의 도자기 장인들. 점토 를 빚어서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그릇 의 총칭. 명칭은 도기 와 자기 의 합

namu.wiki

 

 

몽골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몽골의 역사는 부족 시대 이후 중세 시절 칭기스 칸이 몽골 제국을 세운 일, 그리고 근현대 몽골의 역사까지 다루는 문서이다. 현대 몽골인들의 직계 조상은 몽

ko.wikipedia.org

 

 

 

 

 

세계사를 담은 도자기 이야기 - 이슬람기획, 중국제작-데이비드꽃병 ② - 소년한국일보

청화백자의 탄생서아시아인들은 전통적으로 푸른색을 좋아했다고 해. 그들이 사는 곳이 건조지대라 물이 귀했기 때문에 푸른색을 좋아했다는 거야. 그래서 물건에도 푸른색을 많이 사용했다는

www.kidshankook.kr

 

 

몽골 게르의 전통 제작법과 관련 풍습

제목 : 몽골 게르의 전통 제작법과 관련 풍습 설명 : Assembling the ger © (2011) by L.Ganbaatar 상세정보 목록 : 대표목록 국가 : 몽골(Mongolia) 등재연도 : 2013년 수천 년 동안 몽골의 유목민은 계절에 따

heritage.unesco.or.kr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중국 元代청화자기 문양방식에 나타난 蒙古적 요소

본 논문은 중국 원대 청화자기에 나타난 蒙古적 요소에 대한 연구이다.중국의 원대는 몽고족이 중국을 지배한 시대이다.그러므로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현상들이 나타나는데 도자부분도

www.kci.go.kr

 

 

 

 

 


 

 

Study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1. Introduction

Mongolia, traditionally known as a nomadic culture, has often been perceived as lacking a developed ceramic tradition. However,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Mongolia indeed had a unique ceramic culture, especially during the Mongol Empire period, when interactions with China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Mongolian ceram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y and origins of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their characteristics, key production regions, the production process, modern developments and preservation efforts, and their societal significance.

2. History and Origins of Mongolian Ceramics

The history of Mongolian ceramics dates back to the Neolithic period. Between 5500 BCE and 3500 BCE, as agricultural cultures began to emerge in the Mongolian region, ceramic production also began[3]. However, with the later shift to a nomadic lifestyle, the ceramic culture temporarily declined.

The major development of Mongolian ceramics took place during the 13th century, under the Mongol Empire. When Genghis Khan unified Mongolia in 1206 and established the empire, extensive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began[2]. Through these interactions, advanced Chinese ceramic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into Mongolia, serving as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a distinct Mongolian ceramic culture.

3.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Ceramics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are characterized by their practicality and durability, suited to a nomadic lifestyle. Most ceramics produced were everyday items such as bowls and containers. Given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nomads, lightweight and durable materials were preferred[7].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Mongolian ceramics is their simplicity in decoration. Compared to Chinese ceramics, Mongolian ceramics have fewer and more straightforward decorations, reflecting the Mongolian aesthetic. This aesthetic can be summarized as a "reverence for strength, harmony with nature, respect for honesty and sincerity, and admiration for concise speech and thought"[3]. These values were mirrored in the form and decoration of ceramics, resulting in designs that exude simplicity and strength.

4. Key Production Regions

The primary production regions of Mongolian ceramics have changed over time. Initially, ceramics were produced in areas where agricultural cultures had developed. During the Mongol Empire, Karakorum, the capital, became a center of ceramic production.

During the Yuan dynasty, Chinese ceramic techniques were fully introduced, and in Jingdezhen, a major ceramic production site in China, ceramics in a Mongolian style were produced[8]. Ceramics from this period reflect a unique fusion of Chinese and Mongolian cultures.

5. Production Process

The production process of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generally follows the basic methods found in other regions, involving shaping clay, drying it, and firing it at high temperatures. However, Mongolia's unique environment and cultural traits introduced several differences.

First, local materials readily available in Mongolia were primarily used for production. Second, in the shaping process, forms suitable for nomadic life were preferred. Third, in decoration, simple yet symbolic patterns were commonly used[3].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Mongolian ceramic technology occurred during the Yuan dynasty with the introduction of Chinese blue-and-white porcelain techniques. Using cobalt pigments, blue-and-white ceramics were produced, marking a significant technological leap for Mongolian ceramics[8].

6. Moder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In the 20th century, Mongoli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osed a threat to the survival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e.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newed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leading to the rediscovery of the value of Mongolian traditional ceramics.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has hosted a special exhibition called "The Cup of Nomads," showcasing traditional Mongolian ceramics. This exhibition displays various ceramics from the early Bronze Age stone vessels to ceramics from the Mongol Empire and the works of Mongolian artisans from the 17th to the 20th centuries[5].

Furthermore, the Mongolia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are working to preserve and promote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For example, the traditional techniques related to the Mongolian nomadic dwelling, the ger, have been inscribed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reflecting the growing international interest in Mongolian traditional culture[7].

7. Societal Significance

Mongolian traditional ceramics are more than mere everyday items; they represent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reflects Mongolia'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ceramics, one can observe the nomadic lifestyle, Mongolian aesthetics, and the history of exchanges with neighboring nations.

The ceramics produced during the Yuan dynasty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as they represent a fusion of Mongolian and Chinese cultures. The blue-and-white ceramic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re a result of Mongolian tastes combined with Chinese techniques, making them a symbol of cultural exchange[8].

In modern Mongolian society, traditional ceramics are viewed as a cultural heritage symbolizing national identity. The preservation and continu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are seen as vital not only for safeguarding historical artifacts but also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Mongolian cultural identity.

8. Conclusion

Mongolian traditional ceramics develop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nomadic and sedentary cultures, as well as through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From simple early forms, Mongolian ceramics saw significant development during the Mongol Empire, and in modern times, they have been reappreciated for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Research on Mongolian traditional ceramics provides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ing Mongolia’s history and culture. With continued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researc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ceramics is expected in the future.

References

[1] NamuWiki. (2024). Ceramics.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
[2] Wikipedia. (2024). History of Mongolia. https://ko.wikipedia.org/wiki/%EB%AA%BD%EA%B3%A8%EC%9D%98_%EC%97%AD%EC%82%AC
[3] S-Space. (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75701/1/000000166039.pdf
[4] NamuWiki. (2024). Ceramics.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
[5] HiMongoliaNews. (n.d.). Special Exhibition “The Cup of Nomad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ngolia. https://himongolianews.net/%EB%AA%BD%EA%B3%A8%EA%B5%AD%EB%A6%BD%EB%B0%95%EB%AC%BC%EA%B4%80-%ED%8A%B9%EB%B3%84%EC%A0%84-%EC%9C%A0%EB%AA%A9%EB%AF%BC%EC%9D%98-%EC%9E%94/
[7] UNESCO and Heritage. (n.d.). Traditional Craftsmanship of the Mongolian Ger. https://heritage.unesco.or.kr/%EB%AA%BD%EA%B3%A8-%EA%B2%8C%EB%A5%B4%EC%9D%98-%EC%A0%84%ED%86%B5-%EC%A0%9C%EC%9E%91%EB%B2%95%EA%B3%BC-%EA%B4%80%EB%A0%A8-%ED%92%8D%EC%8A%B5/
[8] DBpia. (n.d.). Distribution of Yuan Dynasty Ceramics: The Influence of Mongolia in Ceramic History.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6901

Citations:
[1]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rev=466
[2] https://ko.wikipedia.org/wiki/%EB%AA%BD%EA%B3%A8%EC%9D%98_%EC%97%AD%EC%82%AC
[3]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75701/1/000000166039.pdf
[4] https://namu.wiki/w/%EB%8F%84%EC%9E%90%EA%B8%B0
[5] https://himongolianews.net/%EB%AA%BD%EA%B3%A8%EA%B5%AD%EB%A6%BD%EB%B0%95%EB%AC%BC%EA%B4%80-%ED%8A%B9%EB%B3%84%EC%A0%84-%EC%9C%A0%EB%AA%A9%EB%AF%BC%EC%9D%98-%EC%9E%94/
[6] https://www.kidshankook.kr/news/articleView.html?idxno=7239
[7] https://heritage.unesco.or.kr/%EB%AA%BD%EA%B3%A8-%EA%B2%8C%EB%A5%B4%EC%9D%98-%EC%A0%84%ED%86%B5-%EC%A0%9C%EC%9E%91%EB%B2%95%EA%B3%BC-%EA%B4%80%EB%A0%A8-%ED%92%8D%EC%8A%B5/
[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6901
[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8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