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5. 00:00ㆍ카테고리 없음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특징, 주요제작지역, 제작과정, 현대적 발전과 보존, 사회적 의미
1. 서론
볼리비아 고산 지역의 도자기 문화는 안데스 문명의 중요한 일부로, 그 역사와 전통은 수천 년에 걸쳐 형성되었다. 이 연구는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의 역사적 기원부터 현대적 발전과 보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티와나쿠(Tiwanaku) 문화를 중심으로 한 고대 도자기 전통과 현대 아와훈(Awajún) 도자기 문화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한다.
2. 역사와 기원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의 역사는 안데스 지역의 초기 문명과 깊은 관련이 있다. 티와나쿠 문화는 이 지역 도자기 전통의 핵심을 이루며, 그 영향력은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2.1 티와나쿠 문화의 영향
티와나쿠는 기원전 200년경부터 서기 1000년경까지 번성한 문명으로, 볼리비아 고산 지역 도자기 문화의 기초를 형성했다[1]. 티와나쿠는 남부 안데스와 그 너머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며, 8세기에 이르러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시기에 티와나쿠의 영향을 받은 많은 도시와 식민지가 설립되었다[1].
2.2 초기 도자기의 출현
중앙 안데스 지역에서 도자기의 출현은 안데스 문명 발전의 중요한 단계로 간주된다. 초기 도자기의 증거는 기원전 2천년대 후반의 선도자기 시대 제물에서 발견되며, 이는 다른 지역에서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3].
3. 특징과 제작기법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는 독특한 미적 특징과 제작 기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전통이 결합된 결과물이다.
3.1 티와나쿠 도자기의 특징
티와나쿠 도자기는 예술적 복잡성과 깊은 상징성으로 유명하다. 이 도자기들은 기하학적 패턴과 동물 형태의 도상을 포함한 정교한 장식으로 특징지어진다[7]. 이러한 장식은 단순한 장식적 요소를 넘어 티와나쿠 문화의 세계관과 우주에 대한 이해를 반영한다.
3.2 제작 기법
티와나쿠 도자기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 점토 추출 및 준비
- 수작업 모델링 또는 몰드 사용
- 코일 기법을 이용한 성형
- 조각, 양각, 채색 등의 장식 기법 적용
- 가마나 노천에서의 소성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도자기는 실용적 기능뿐만 아니라 깊은 상징적, 의례적 의미를 지닌다[7].
4. 주요 제작 지역
볼리비아 고산 지역의 주요 도자기 제작 지역은 티티카카 호수 주변과 티와나쿠 유적지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4.1 티와나쿠 유적지
티와나쿠 유적지는 볼리비아 라파스 주 잉가비 지방의 티티카카 호수 남쪽 해발 3,850m에 위치한다[1]. 이 지역은 고대 티와나쿠 문명의 중심지로, 풍부한 도자기 유물이 발굴되었다.
4.2 타라코 반도
타라코 반도는 티티카카 호수 유역에 위치하며, 후기 형성기(기원전 200년 - 서기 300년) 동안 중요한 도자기 생산 지역이었다. 칼라 우유니(Kala Uyuni), 쿠미 키파(Kumi Kipa), 소나지(Sonaji) 등의 정착지에서 다양한 도자기 제작 전통이 발견되었다[6].
5. 제작 과정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의 제작 과정은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 방법이 혼합되어 있다. 이 과정은 재료의 수집부터 최종 마무리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5.1 재료 수집 및 준비
점토는 주로 지역에서 채굴되며, 정제 과정을 거친다. 전통적으로 점토는 햇볕에 말리고 물에 며칠간 담그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체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 상태의 점토를 분말로 만들어 템퍼와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소성 가능한 반죽을 만든다[6].
5.2 성형 및 장식
성형은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코일 기법이나 몰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장식 단계에서는 조각, 양각, 채색 등 다양한 기법이 적용된다. 티와나쿠 도자기의 특징적인 기하학적 패턴과 동물 형상은 이 단계에서 추가된다[7].
5.3 소성
전통적으로 노천 소성이나 구덩이 소성 방식이 사용되었다. 구덩이 소성의 경우, 도자기를 얕은 구덩이에 넣고 나무와 덤불, 또는 동물 배설물로 덮은 후 불을 붙여 14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경화시킨다[9].
6. 현대적 발전과 보존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 전통은 현대에 들어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해석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6.1 현대적 발전
현대 볼리비아 도예가들은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도자기 예술을 창조하고 있다. 이는 전통의 계승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4].
6.2 보존 노력
유네스코는 2000년 티와나쿠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이 지역의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하고 있다. 볼리비아 정부는 D.S. 25647-14/01/2000 법령을 통해 티와나쿠 유적지의 보호 구역을 설정하고, 문화유산의 보존과 보호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1].
7. 사회적 의미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는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깊은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공동체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7.1 문화적 정체성
도자기는 볼리비아 고산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아와훈 족의 도자기 제작 과정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보여주는 예로 여겨진다[4].
7.2 지식 전승
도자기 제작 기술과 관련된 지식은 주로 가족 내에서 전승된다. 아와훈 족의 경우, 두쿠그(Dukúg) 현자 여성들이 도자기 제작 지식과 전통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4].
7.3 경제적 의미
전통 도자기 제작은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광 산업과 연계되어 지역 공동체에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며, 전통 문화의 보존과 경제적 발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8. 결론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는 수천 년에 걸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티와나쿠 문화의 영향으로 시작된 이 전통은 현대까지 이어져 오면서 지역 공동체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전통의 보존과 새로운 해석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으며, 이는 볼리비아 고산 도자기 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Tiwanaku: Spiritual and Political Centre of the Tiwanaku Culture."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rg/en/list/567/.
- Wake Forest University. "APA 6th ed. Style Guide: Scholarly Journal Articles." ZSR Library Research Guides, https://guides.zsr.wfu.edu/c.php?g=34537&p=221055.
- Matsumoto, Y., et al.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ottery in the Andean Early Formative Period: New Insights from an Improved Wairajirca Pottery Chronology at the Jancao Site in the Huánuco Region, Peru." Latin American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latin-american-antiquity/article/emergence-and-development-of-pottery-in-the-andean-early-formative-period-new-insights-from-an-improved-wairajirca-pottery-chronology-at-the-jancao-site-in-the-huanuco-region-peru/E1B4D46CA57056B02E9004DAE9358D1F.
- UNESCO. "Pottery-related values, knowledge, lore and practices of the Awajún peopl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ich.unesco.org/en/RL/pottery-related-values-knowledge-lore-and-practices-of-the-awajun-people-01557.
- UNESCO. "Bisalhães black pottery manufacturing proces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ich.unesco.org/en/USL/bisalhaes-black-pottery-manufacturing-process-01199.
- Roddick, A. P. "Communities of Potte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n the Taraco Peninsula, Bolivia, 200 BC-300 AD." UC Berkeley, 2009.
- Ceramic Artis. "Tiahuanaco Ceramics: Legacy Of The Andean Highlands." Ceramic Artis, https://ceramicartis.com/en/tiahuanaco-ceramics/.
- Graduate Institute Geneva. "Citing Theses - Master's Dissertations and PhD Theses." LibGuides, https://libguides.graduateinstitute.ch/academic_works/writing/citing_theses.
- Wikipedia. "Ceramics of Indigenous peoples of the Americas."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eramics_of_Indigenous_peoples_of_the_Americas.
Citations:
[1] https://whc.unesco.org/en/list/567/
[2] https://guides.zsr.wfu.edu/c.php?g=34537&p=221055
[3]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latin-american-antiquity/article/emergence-and-development-of-pottery-in-the-andean-early-formative-period-new-insights-from-an-improved-wairajirca-pottery-chronology-at-the-jancao-site-in-the-huanuco-region-peru/E1B4D46CA57056B02E9004DAE9358D1F
[4] https://ich.unesco.org/en/RL/pottery-related-values-knowledge-lore-and-practices-of-the-awajun-people-01557
[5] https://ich.unesco.org/en/USL/bisalhaes-black-pottery-manufacturing-process-01199
[6] https://escholarship.org/content/qt93n9737m/qt93n9737m_noSplash_3fb8608fbee88c4c1364509fa8d8183e.pdf
[7] https://ceramicartis.com/en/tiahuanaco-ceramics/
[8] https://libguides.graduateinstitute.ch/academic_works/writing/citing_theses
[9] https://en.wikipedia.org/wiki/Ceramics_of_Indigenous_peoples_of_the_Americ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