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4. 23:04ㆍ카테고리 없음
칠레 마푸체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특징, 주요제작지역, 제작과정, 현대적 발전과 보존, 사회적 의미
1. 서론
마푸체(Mapuche)는 칠레 중남부와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방에 걸쳐 살고 있는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이다[8]. '땅의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진 마푸체는 칠레를 대표하는 원주민으로, 그들의 도자기 문화는 오랜 역사와 풍부한 전통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푸체 도자기의 역사적 기원부터 현대적 발전까지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한다.
2. 마푸체 도자기의 역사와 기원
마푸체 도자기의 역사는 기원전 600년에서 500년 사이로 거슬러 올라간다[1].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마푸체 문화는 이 시기에 칠레와 아르헨티나 지역에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마푸체는 유전적으로 인접한 파타고니아 토착민들과 다르며, 이는 "마푸체와 파타고니아 인구의 기원이 다르거나 오래 지속되는 분리"를 시사한다[1].
마푸체 도자기 문화는 3세기경부터 현재의 칠레 영토에서 발전해왔다[7]. 16세기 스페인 정복자들의 도래로 마푸체의 삶은 급격한 변화를 겪었지만, 도자기 제작은 여전히 중요한 표현 형식으로 남아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담아내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7].
3. 마푸체 도자기의 특징
마푸체 도자기는 다양한 형태와 기술적 해법을 통해 풍부한 미적 가치를 표현한다[7].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형태의 다양성: 마푸체 도자기는 실용적 용도와 의례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7].
장식 기법: 복잡한 미적 코드와 섬세한 상징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문화적, 민족적 소속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7].
색상: 마푸체 도자기는 특히 흑백 패턴이 특징적이며, 이는 자연 안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9].
문화적 융합: 고대 요소와 유럽의 특징을 결합하여, 식민 시대의 문화간 역학을 반영한다[7].
메타웨(Metawe): 오리, 닭, 개구리 등 동물 형상을 본뜬 비대칭 디자인의 토기 주전자는 마푸체 도자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2].
4. 주요 제작 지역
마푸체 도자기의 주요 제작 지역은 칠레 중남부와 아르헨티나의 일부 지역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제작되어 왔다:
칠레 중남부: 비오비오(Biobío) 지역, 아라우카니아(Araucanía) 지역, 로스 리오스(Los Ríos) 지역[1][8].
아르헨티나: 네우켄(Neuquén) 지방을 포함한 파타고니아 일부 지역[8].
특히, 테무코(Temuco) 시 근처의 피트렌(Pitrén) 묘지와 비오비오 지역의 알보얀코(Alboyanco) 유적지는 마푸체 도자기의 오래된 흔적이 발견된 중요한 고고학적 장소이다[3].
5. 제작 과정
마푸체 도자기의 제작 과정은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며, 세대를 거쳐 전승되어 왔다. 주요 제작 단계는 다음과 같다:
원료 준비: 적절한 점토를 선별하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성형: 손으로 빚거나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든다.
건조: 성형된 도자기를 그늘에서 천천히 건조시킨다.
장식: 자연 안료를 사용하여 특유의 흑백 패턴을 그린다[9].
소성: 전통적인 야외 소성 방식을 사용하여 도자기를 굽는다.
마푸체 여성들이 주로 도자기 제작을 담당했으며, 이 기술은 가족 내에서 전승되었다. 어머니, 할머니, 이모들이 소녀들에게 자신들이 배운 기술을 가르쳤다[3].
6. 현대적 발전과 보존
마푸체 도자기는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수용하며 발전해왔다. 현대의 마푸체 도예가들은 전통적인 형태와 기법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다[7]. 이는 마푸체 도자기 문화의 기술적, 미학적 힘을 보여주며,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의 도자기 문화와 정체성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증명한다[7].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칠레 정부는 마푸체의 언어와 문화를 인정하고 일부 지역 초등학교에서 이를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기도 했다[5]. 이러한 노력은 마푸체 도자기 문화의 지속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사회적 의미
마푸체 도자기는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깊은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문화적 정체성: 도자기는 마푸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고 강화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7].
의례적 기능: 많은 마푸체 도자기가 전통 의식과 의례에서 사용되며, 영적인 중요성을 지닌다[9].
역사적 기록: 도자기의 형태와 장식은 마푸체의 역사와 사회 변화를 반영한다[7].
경제적 가치: 도자기 제작은 마푸체 공동체의 중요한 경제 활동 중 하나이다[3].
교육적 역할: 도자기 제작 기술의 전수는 세대 간 지식 전달과 문화 보존의 수단이 된다[3].
8. 결론
마푸체 도자기는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전통적 기법과 현대적 해석이 조화를 이루며, 마푸체의 정체성과 역사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앞으로도 마푸체 도자기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Wikipedia. (n.d.). Mapuche history.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Mapuche_history
Chile Precolombino. (n.d.). Art – Mapuche. Retrieved from https://chileprecolombino.cl/en/pueblos-originarios/mapuche/arte/
Wikipedia. (n.d.). 마푸체족.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D%91%B8%EC%B2%B4%EC%A1%B1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n.d.). 칠레의 원주민. Retrieved from https://overseas.mofa.go.kr/cl-ko/brd/m_6569/view.do?amp%3Bitm_seq_1=0&%3Bitm_seq_2=0&%3Bmulti_itm_seq=0&seq=1019758
IDaegu. (n.d.). 40만년 전 불을 발견한 인류, 처음으로 날것을 익혀먹다. Retrieved from https://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311
Barouda, A. (n.d.). The Timeless Art of Ceramics: From Clay to Culture. LinkedIn. Retrieved from https://www.linkedin.com/pulse/timeless-art-ceramics-from-clay-culture-archontoula-barouda
Adán, L., Mera, R., Navarro, X., Campbell, R., Quiroz, D., & Sánchez, M. (2016). The aesthetics of clay: Mapuche pottery, visual identity and technological diversity. ResearchGat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5854132_The_aesthetics_of_clay_Mapuche_pottery_visual_identity_and_technological_diversity
Namu Wiki. (n.d.). 마푸체. Retrieved from https://namu.wiki/w/%EB%A7%88%ED%91%B8%EC%B2%B4
Niemeyer, H., & Pérez de Arce, J. (2004). Mapuche Pottery in Chile: Ethnoarchaeological Insights into Production, Meaning, and Use. Latin American Antiquity, 15(1), 3-28.
Citations:
[1] https://en.wikipedia.org/wiki/Mapuche_history
[2] https://chileprecolombino.cl/en/pueblos-originarios/mapuche/arte/
[3]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D%91%B8%EC%B2%B4%EC%A1%B1
[4] https://www.kiep.go.kr/aif/issueDetail.es?brdctsNo=328947¤tPage=1&mid=a10200000000&pageCnt=10&systemcode=06
[5] https://overseas.mofa.go.kr/cl-ko/brd/m_6569/view.do?amp%3Bitm_seq_1=0&%3Bitm_seq_2=0&%3Bmulti_itm_seq=0&seq=1019758
[6] https://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311
[7] https://www.academia.edu/93673180/The_Polynesian_Mapuche_Connection_Soft_and_Hard_Evidence_and_New_Ideas
[8] https://namu.wiki/w/%EB%A7%88%ED%91%B8%EC%B2%B4
[9] https://www.linkedin.com/pulse/timeless-art-ceramics-from-clay-culture-archontoula-barouda
[10]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5854132_The_aesthetics_of_clay_Mapuche_pottery_visual_identity_and_technological_diversity